타 CAE 코드와의 coupling해석은 1way, 2way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Abaqus로 pressure값을 export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export interval 을 기반으로 maximum physical time 내에서 inp 파일을 순차적으로 만드는 java매크로를 소개하고, 테스트를 할 수 있는 sim 파일을 첨부하였다. (This article describe java macro for exporting transient data with user-input interval to Abaqus inp file)
본 게시물은 Abaqus와 1 Way Coupling해석을 수행할때, STAR-CCM+의 해석결과를 Abaqus Imported Model에 mapping하고 이를 사용자가 입력한 간격에 맞춰서 exporting 할 수 있는 java 매크로를 소개하고 함께 수행할 수 있는 sim 파일도 포함되어있습니다.
Abaqus로의 data export을 위해서는 Abaqus inp 파일을 File > Import CAE Model.. 을 통해서 STAR-CCM+로 불러옵니다.
Imported CAE model에 대해서 data mapping 은 아래 그림처럼 완료가 되었습니다.
이후 첨부된 mappedandexportV2.java 를 실행하여, 대화상자에서 export할 간격을 입력하면 transient해석을 수행하면서 mapped pressure값을 입력한 주기마다 inp로 추출을 하고, inp 파일은 부터 순차적으로 붙여집니다.
export되는 inp 파일의 숫자는 입력한 export 간격과 maximum physical time, time step size에 따라 달라집니다.
사용된 java 파일의 주요한 기능을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A. 대화상자를 open하여 mapping된 data를 어떤 간격으로 export할지 값을 입력받는다.
이 값은 실제로는 transient에서 몇 번의 time step을 실행할지를 결정하게 되고, simulation_0.getSimulationIterator().step(integerSteps);에서 integerSteps 변수에 입력이 된다. 만약, 3을 입력했으면, 3번의 time step을 실행하고, mapping 및 export를 실행하게 된다.
B. 대화상자에서 입력한 값을 Maximum Physical Time이 될때까지 해당 step만큼 solving을 진행하고 나서, data mapping 을 수행하고 mapping된 결과를 inp 파일로 export하는 작업을 하게 되며, export된 inp파일은 1부터 오름차순으로 파일명에 붙게 됩니다.